*
질환안내
월평본마디의원
척추클리닉
어깨클리닉
팔꿈치클리닉
손목/수부클리닉
무릎클리닉
발목/족부클리닉
염증성관절클리닉
교통사고클리닉



슬개-대퇴통증증후군·전방십자인대파열·후방십자인대파열베이커낭종·퇴행성 관절염·반열상 연골파열

     슬개-대퇴통증증후군·전방십자인대파열·후방십자인대파열

         끊임없는 노력과 연구로 환자분들의 건강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슬개-대퇴 과압박 증후군이란?

슬개대퇴증후군이란 반복적이고 빈번하게 일어나는 무릎의 굽힘 동작 시 나타나는 무릎 앞쪽의 통증이 특징적입니다. 슬개대퇴증후군은 만성적인 무릎 통증의 원인으로 육상선수에게서 흔히 나타나지만 일반적인 성인이나 노인에게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대퇴골 말단 부위에 슬개골의 지지가 불안정하기 때문에 발생되며 장시간 가부좌로 앉는 자세나 무릎을 꿇고 앉는 자세는 증상을 악화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슬개대퇴통증증후군(Patellofemoral Pain Syndrome)은 무릎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 중 20~30%에서 발생하며 무릎 앞부분에 있는 접시 모양의 뼈를 슬개골의 주위 연골이 손상돼 통증이 나타납니다. 슬개골을 잡고 있는 내측 대퇴사두근의 힘이 약해져 슬개골이 외측으로 틀어지거나 아탈구가 발생하면 슬개골과 연골의 마찰 증가를 불러와 연골 손상과 통증이 일어나는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무릎 통증의 가장 흔한 원인

무릎 앞쪽 뼈인 슬개골과 허벅지 뼈인 대퇴골이 만드는 슬개-대퇴관절의 안쪽과 바깥쪽 간격이 다른 부정정렬로 인해서 무릎을 움직일 때 좁아진 외측으로 마찰을 일으켜 슬개-대퇴관절 사이에 증가한 압력으로 인해 관절연골이 손상되는 질환입니다.
이 증후군은 운동량 부족으로 대퇴근육이 약해져 있을 때에도 발생하기 쉽습니다. 이 때문에 장시간 앉아서 생활하는 청소년과 여성에서 잘 나타나며, 특히 여성은 남성에 비해 골반이 넓고 대퇴에서 무릎까지 이어지는 각도가 커서 슬개골에 가해지는 힘이 더 커서 발생 위험이 높습니다.

슬개-대퇴 과압박 증후군 증상

통증 부위 : 무릎 앞쪽
▶ 무릎을 구부리고 펼 때 소리
▶ 등산 갔다가 하산할 때
▶ 계단을 내려올 때
▶ 무릎을 오랫동안 구부리고 있을 때

슬개-대퇴 과압박 증후군이 잘 오는 경우

▶ 여자
▶ 오자 다리의 남자
▶ 무릎을 많이 구부리는 운동/일을 하는 경우
▶ 30대 이후에 급증

슬개-대퇴 과압박 증후군 예방법

▶ 허벅지 근육강화운동이나 스트레칭을 해주면 좋습니다. 특히 무릎 위쪽의 대퇴사두근과 허벅지 안쪽 근육인 대퇴내전근 등 다리 근육을 강화시키는 운동을 꾸준히 하면 무릎에 가해지는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 운동 전·후로 충분히 스트레칭을 통해 관절의 안정성 및 근육의 유연성을 확보하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좋습니다.
▶ 과체중으로 인해 무릎에 부담을 주지 않도록 항상 적정 체중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본마디의원에서 시행하는 슬개-대퇴 과압박 증후군에 대한 진단의 장점

▶ 풍부한 임상 경험의 전문의가 꼼꼼한 진찰로 적절한 진단 계획을 세웁니다.
▶ 방사선 검사는 고화질의 디지털 장비를 이용하여 관절의 다방향, 다각도 및 양측 비교 촬영을 시행하여 정확한 진단이 가능합니다.
▶ 고해상도 초음파를 이용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슬개-대퇴 과압박 증후군을 진단합니다.

본마디의원의 비수술 치료

▶ 초음파를 이용한 주사치료
1. 초음파를 이용하여 정확한 위치에 적은 양의 주사치료를 시행하여 효과는 뛰어나고, 부작용은 최소화하고 있습니다.
2. 체외충격파 치료와 병행함으로써 치료의 효과를 극대화하여 빠르고 우수한 치료결과를 얻고 있습니다.

▶ 통증치료 – 체외충격파치료(ESWT)
1. 체외충격파(WEST) 치료는 무릎 관절에 발생 되는 염증, 손상된 연골 조직에 강한 음파 에너지를 투사하여 염증과 통증을 치료하는 의료기기입니다.
2. 본마디의원의 체외충격파 치료기는 영국의 BTL사의 장비로 에너지는 높고 통증은 낮아 우수한 치료효과를 얻고 있습니다.

▶ 도수치료(Manual therapy)
물리치료사가 1:1로 치료
1. 염증으로 인한 근육경직 이완
2. 관절 통증 완화
3. 병변 부위를 자극하고 손상된 근육을 활성화 시킴

▶ 재활운동
통증의 원인이 되는 구조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재활치료가 가장 중요합니다.
슬개-대퇴관절의 유연성(Flexibility)을 증가시키는 운동이 중요하며,
무릎의 신전근중에 내측 광배근을 강화하는 운동을 해야 합니다.
통증을 유발하는 자세나 운동(쭈그리고 앉기, 계단 오르내리기, 등산, 달리기) 는 피해야 합니다.

전방십자인대파열이란?

무릎 관절에는 전방십자인대와 후방십자인대가 있는데, 전방십자인대는 무릎이 앞으로 밀리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합니다. 전방십자인대 파열이 일어나는 상황을 살펴보면 경기 중에 갑자기 속도를 내다가 속도를 멈춘다거나 급작스럽게 방향을 바꿀 때, 무릎에는 외부압력이 가해지고 동시에 회전력도 작용하여 이를 제어할 수 없을때 전방십자인대파열이 발생하게 됩니다.

전방십자인대 파열의 원인

전방십자인대 파열은 무릎의 대표적인 스포츠손상입니다.
▶ 추돌사고, 무릎에 직접적인 충격을 주는 종목, 특히 하체를 자주 쓰는 스포츠 선수들에 빈번하게 발생됩니다.
▶ 운동 중 갑작스럽게 방향을 바꾸거나 넘어질 때 생기게 됩니다.
▶ 점프 후 잘못된 자세로 착지를 할 경우, 불안정한 착지로 인해 무릎이 뒤틀리는 외상에 의해 발생됩니다.
▶ 충분한 스트레칭 없이 운동을 시작했을 경우 무릎관절의 유연성이 떨어져 부상에 취약한 상태가 되어 파열이 쉽게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전방십자인대 파열 시 증상

▶ 인대가 끊어지는 파열음이 발생
▶ 무릎이 부어 오르거나(부종) 극심한 통증이 발생
▶ 경우에 따라 관절 내부에 피가 고이며, 심하면 걷기 어려울 정도로 안정감이 떨어짐
▶ 수상 후 부종이 가라 앉은 후 무릎의 불안정한 느낌
▶ 무릎 주위의 통증이 발생되어 무릎을 펴는 것이 어렵거나 어긋나는 느낌을 받아 하체에 체중을 실을 수 없음

전방십자인대 파열 예방법

▶ 무릎관절의 유연성을 적절히 증가하기 위해 운동 전 충분한 스트레칭과 준비운동 실시
▶ 무릎에 부담이 되지 않도록 체중조절
▶ 좌식생활 및 활동은 가급적 자제
▶ 근력강화를 통한 관절가동범위 증가 및 근 골격의 안정화

본마디의원에서 시행하는 전방십자인대파열에 대한 진단의 장점

▶ 풍부한 임상 경험의 전문의가 꼼꼼한 진찰로 적절한 진단 계획을 세웁니다.
▶ 본마디의원에서 보유하고 있는 Telos부하장비로 파열된 전방십자인대가 앞으로 밀리는 정도를 측정하여 진단 합니다.
▶ 비 수술적인 진단 검사 중 사장 정확한 검사로 본마디의원의 촬영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부분파열 및 완전 파열에 대하여 정확한 진단이 가능합니다.

후방십자인대 파열이란?

일반적으로 십자인대는 허벅지 뼈와 정강이뼈를 잡아줘 무릎 관절이 앞뒤로 많이 흔들리지 않게 안정시켜주고, 회전 운동에 있어서도 안정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후방십자인대는 무릎관절의 뒤쪽에 있으면 굵고 부착부위가 넓은 인대로 무릎이 뒤로 밀리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합니다. 후방십자인대 파열은 전방십자인대 파열에 비해 발생 빈도가 낮아 치료방법과 수술 방법이 보편화 되지 않은 외상입니다.

후방십자인대 파열의 원인

▶ 무릎을 꿇고 넘어지는 경우입니다.
▶ 자동차(운전자) 사고로 대쉬보드에 무릎이 밀리는 경우 발생됩니다.
▶ 빠른 속도로 달리다가 갑자기 속도를 늦춰 멈출 때, 급작스럽게 방향을 바꿀 때, 점프 후 착지할 때 무릎 관절이 뒤틀리면서 과도한 충격과 회전력을 받아 후방십자인대가 파열될 수 있다.
▶ 무릎이 과도하게 굽혀진다거나 젖혀지더라도 발생됩니다.
(관절이 밀리게 되어 뼈와 뼈 사이를 이어주는 인대가 훼손되어 뼈가 뒤로 밀리게 되기 때문입니다.)
▶ 중년 이후에는 퇴행성 변화로 인대의 탄력이 떨어지면서 파열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후방십자인대 파열 시 증상

▶ 스포츠손상 혹은 자동차사고시 외상 시 뚝하는 소리가 납니다.
▶ 다친 후 무릎의 통증이 발생되고 많이 붓고 아픕니다.
▶ 다친 이후 붓기가 빠지면서 걸을 때 무릎이 흔들리는 느낌이 납니다.
▶ 한번 파열될 경우 치료가 어려우며 사고가 나기전 100%의 상태로 회복이 힘듭니다.
▶ 계단을 내려갈 때 무릎의 안정성이 떨어지며 보행 뿐 아니라 일상생활에도 불편함을 미치게 됩니다.

후방십자인대 파열 예방법

▶ 운동 전 스트레칭으로 경직된 관절관 근육을 충분히 풀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 운동할 때는 무리한 점프와 방향전환을 자제하고, 운동 후에는 따뜻한 물로 샤워를 하며 충분한 휴식을 취해야 합니다.
▶ 평소에 허벅지 근육을 강화시켜주는 운동을 규칙적으로 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본마디의원에서 시행하는 후방십자인대파열에 대한 진단의 장점

▶ 풍부한 임상 경험의 전문의가 꼼꼼한 진찰로 적절한 진단 계획을 세웁니다.
▶ 본마디의원에서 보유하고 있는 Telos부하장비로 파열된 후방십자인대가 뒤로 밀리는 정도를 측정하여 진단 합니다.
▶ 비 수술적인 진단 검사 중 가장 정확한 검사로 본마디의원의 촬영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부분파열 및 완전 파열에 대하여 정확한 진단이 가능합니다.

후방십자인대 파열 진찰 - Postenior drawer test

다양한 진찰법을 활용하는 경험이 많은 본마디의원의 전문의는 진찰을 통해 후방십자인대 파열을 진단할 수 있습니다.

WOLPYEONG BONE MADI CLINIC